월간 퍼블릭아트 뉴스레터 Vol. 221 Feb 2025
25/02/26 대구미술협회 조회 171
 

Special Feature
Art of Healing

지금, 미술은 어떤 힘을 건넬 수 있을까. 상처 입은 몸과 마음을 회복시키며 다시 혹은 새 삶을 이어나갈 용기를 선사하는 미술의 치유적 기능을 전한다. 자신만의 예술세계를 통해 트라우마를
​​​​​​​극복해 내며 세상과 소통한 예술가 11명의 이야기에 이어 미술치료의 원론을 개념과 역사로 살핀다. 또 미술관이 언제부터 회복의 공간으로서 기능하게 되었는지 그 과정을 확인한다. 이번 기획은 어쩌면 최근 당신이 그토록 찾아 헤매던 그 무엇일지도 모른다.

 

Public & Tech
커미션: 우아하면서도 복잡한 예술 실천

순수 작가의 의지와 영감만으로 완성되는 작품이 있는가 하면
​​​​​​​누군가의 의뢰와 지원이 동기가 되어 세상 밖으로 나오는 작업도 있다. 기관의 의제 혹은 전시 기획 의도를 함축하는 커미션 작품은 어떠한 의도와 기대를 바탕으로 만들어지는가. 프로젝트 작가 선정 기준, 예산 책정, 기간 설정, 작가와의 소통 방식, 프로젝트에 임하는 작가의 태도와 목표 의식 등이 궁금하다.

 

Art World
Electric Dreams:
Art and Technology Before the Internet
2024.11.28-6.1 런던, 테이트 모던


공간에 몰입형 환경을 만들고, 다양한 방식으로 기술을 적용한 예술 작품을 소개하고, 광학, 키네틱, 프로그래밍 및 디지털 아트의 혁신적인 초기 예술가들을 기념하는 대규모 전시. 예술 작품의 생태계 속 기술과의 만남을 통한 새로운 도전은 늘 상상력을 뛰어넘는다. 그렇다면 예 술과 기술은 어떻게, 왜, 어떤 계기로 처음 마주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지금 테이트 모던(Tate Modern)에서 찾을 수 있다.

Art Log
뉴욕의 거장들: 적슨 폴록과 마크 로스코의 친구들
1.10-7.12 노원문화예술회관 노원아트뮤지엄


새롭게 단장한 노원아트뮤지엄이 개관전으로 뉴욕의 현대미술 거장들 전시를 마련한다. 국내 최초로 뉴욕 추상표현주의 걸작을 한자리에서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잭슨 폴록(jackson Pollock), 마크 로스코(Mark Rothko), 리 크래스너(Lee Krasner) 등 미국 추상표현주의의 대표적인 조형 언어를 고안한 21명의 상징적인 작가들의 걸작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다.

Preview Issue
화이트스페이스
2024.11.27-2.28 수림큐브


동시대 사회 현상에 주목하고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하는 수림문화재단 주제 기획전. 작가 김도연, 노혜리, 문이삭, 한진이 이동과 속도의 진보로 사라지는 사유의 시간을 다시금 조망한다. 4명의 참여 작가는 변주의 방법론에 기대어 자신들의 '기술'을
​​​​​​​고수하면서 감각을 확장한다. 변화의 과정을 사유하는 시간이 점차 소멸하는 시대, 여전히 감각과 사유의 시간은 유효하게 작동하고 있을지 확인해 보자.

Key Work
'제19회 퍼블릭아트 뉴히어로' 공모
2월 1일부터 3월 17일까지 접수


'퍼블릭아트 뉴히어로' 공모가 올해 19회를 맞았다. 학력, 국적, 경력, 수상경력 제한 없이 만 20세 이상 작가라면 누구나 지원
​​​​​​​가능하며, 1차 심사는 포트폴리오에 담긴 작업만으로만 이루어진다. 자세한 접수 방법은 홈페이지(artinpost.co.kr)에서 다운로드한 참가신청서와 개별 포트폴리오를 월간 「퍼블릭아트」로 제출하면 된다. 우편 접수만 가능하다. 접수는 2월 1일부터 3월 17일까지.

 
이전글 월간 퍼블릭아트 뉴스레터 Vol. 222 Mar 2025
다음글 초현실주의 100년의 환상